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탈모예방에 좋은 약초

*인슈넷* 2024. 2. 4. 10:07
반응형

삼백초

항암효능 -  부종, 소변불리, 간염, 탈모에 효염  탈모 정수리

삼백초는 꽃, 잎, 뿌리가 모두 흰색이기 때문에 삼백초라 불려졌다. 남자 정수리

흰 뿌리줄기에서 독한 냄새를 풍기는데 송장 썩은 냄새가 난다 하여 송장풀 이라고도 한다.탈모 정수리

삼백초는 유일하게 꽃에 꽃잎이 없다는 특징이 있고, 독이 없어 식용과 약용으로 가치가 높다. 남자 정수리

탈모 정수리

약초를 만들 때는 여름철에 지상부와 뿌리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쓴다. 남자 정수리

꽃, 잎, 줄기를 채취하여 말려 약용으로 쓰고 주로 전신이 붓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위병이나 간병에 좋고 해열과 이뇨, 거담에도 쓴다. 삼백초는 독성이 없어 장기 복용해도 무방하다.  탈모 정수리

탈모 정수리남자 정수리

한방에서 전초를 말린 것을 백화라 부른다. 주로 암, 소변불리, 부종, 간염, 황달, 소염, 축농증, 생리불순, 냉에 대해 처방되는 약재이다.  탈모 정수리 

남자 정수리남자 정수리

민간에서 부종에 전초를 10g 달여서 먹는다. 급성 간염과 황달에는 15~20g을 달여 먹는다. 종기에 전초를 찧어 환부에 바른다. 남자 정수리  남자 정수리

남자 정수리  남자 정수리

삼백초
삼백초

 

한약명 백화 (전초를 말린 것)
다른 이름 삼점백, 전삼백, 오로백, 백화연, 삼엽백초, 백설골, 백면골, 수목통
분포지 제주도 협제 근처의 습지
형태 삼백초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높이 50m정도 이고,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밑은 심장형, 화서 밑의 2~3개 잎은 보통 초여름에 백색으로 변한다.
꽃은 6~8월 꽃잎이 없는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8월부터 둥근 장과로 여문다. 
이용 부위 식용(전초) 약용(전초)
약초 만들기 여름에 지상부와 뿌리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식용 쓴맛을 제거하고 요리한다
양념무침, 국거리로 먹는다
봄부터 여름까지 전초를 채취하여 끊는 물에 살짝 데쳐 나물로 먹는다
차 만들기 봄에 전초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가루르르 내어 물어 타서 먹거나 
차관에 삼백초 10g 약한불로 끊여 꿀에 타 먹는다
효소 만들기 봄에 전초를 채취하여 용기에 넣고 설탕을 녹인 시럽을 30%부어 100일 이상 발효시킨다.

 

 

 

 

 

약모밀

열가지 약효 -  뇌질환, 모세혈관, 출혈예방, 항바이러스 작용

 

풀전체에서 생선 비린내가 난다고 하여 어성초, 열 가지 약효가 있다고 하여 십약이라고 불리며 몸을 튼튼하게 하고 출혈을 멈추게 하는 데 쓰인다. 탈모 정수리

생선 비린내의 악추는 약 4만 배나 강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다. 남자 정수리

일본 히로시마에 원자탄이 투하된 후 초토화된 상태에서 이듬해 다시 자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한 식물이다.

탈모 정수리

약모밀은 식용, 약용, 관산용으로 가치가 높다. 남자 정수리

배당체에 식물성 노란 색소인 케르세린이 함유되어 있어 혈관을 확장시켜 뇌출혈이나 모세혈관 출혈을 예방해 준다. 

약리실험에서 항균, 항염증,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자 정수리

탈모 정수리

한방에서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말린 것을 어성초, 십약 중채, 즙채라 부른다. 주로 인후염이나 대하증, 자궁염, 폐렴, 기관지염, 습진, 종기에 처방되는 약재이다. 남자 정수리

탈모 정수리

민간에서는 무좀 치료를 위해 식초에 약모밀을 담가 열흘 가량 두었다가 뜨거운 물에 약하게 타서 발을 담가 치료했다. 

코감기로 답답할 때도 약모밀 비벼 콧속에 30분 정도 넣어 사용했다. 남자 정수리

어지럼증에 약모밀을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 후 20g을 물에 달여 차로 마신다. 탈모 정수리

 

약모밀
약모밀

 

 

한약명 어성초, 십약, 중채, 즙채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말린 것)
다른 이름 십자풀, 잠채, 필관채, 즙이근, 취채
분포지 들판의 습지
형태 약모밀은 삼백초과의 여러해 살이 풀로 높이 50~70cm 정도이고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원 원줄기 끝에 이삭화서로 달리고, 꽃잎은 없고 흰색 타원형 총포 4장이 꽃잎처럼 보니다. 열매는 8~9월에 삭과로 여문다
이용 부위 식용(꽃, 전초) 약용(전초, 뿌리)
약초 만들기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전초를 포함한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식용 생선비린내 같은 독특한 냄새를 제거하고 요리한다
봄에 잎을 뜯어 쌈, 김치, 튀김 등으로 먹는다
봄에 전초를 채취하여 끊는 물에 살짝 데쳐 나물로 먹는다
꽃차 만들기 5~6월에 개화 직후의 꽃을 따서 근르에 말려 찻잔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우린다.
효소 만들기 봄부터 여름 사이에 잎을 따서 물에 씻고 물기를 없앤 다음 유리 용기에 넣고 설탕을 녹인 시럽을 30%부터 100일 이상 발효 시킨다.
주의 사항 장복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반응형
글 보관함
반응형